본문 바로가기
감성 문화

부정적인 면에서 여러 가지로 기대 이상의 모습을 보여준 중국 무협, <청면수라; Code of the Assassins>

by 마인드 오프너 2023. 4. 9.
반응형

영문 제목의 Song는 틀렸다. Code로 써야 맞다.

장르 : 액션/미스터리/드라마

국가 : 중국, 홍콩

제작년도 : 2022

감독 : 이인항

주연 : 풍소봉

상영시간 : 118분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속인 놈보다 속은 놈이 바보

 

사기꾼보다 사기를 당한 사람이 바보라는 말이 있다. 전혀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런데 이 황당한 일을 중국산 영화를 볼 때 매번 당하고 있으니 할 말이 없다. <청면수라>는 여러 가지 면에서 대단하고 놀라운 영화다. 부정적인 면에서. 제목부터 이상하다. <청면수라>는 ‘푸른 가면을 쓴 싸움귀신’이라는 뜻인데 정작 영화에는 푸른 가면을 쓴 인물이 없다. 주인공을 비롯한 유령계곡 인물들은 황금가면을 쓰고 있다. 처음 가졌던 기대감은 실망으로 변한다. 무협인데 SF적이다. 영화 속에 반전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등장인물이 원하면 안 되는 게 없다. 쉬운 길도 어렵게 간다.

유령곡의 인물들은 모두 황금 가면을 착용한다.


보물 지도를 둘러싼 음모

 

영화의 시놉시스는 표면적으로는 간단하다. 누군가 만든 지도를 둘러싼 권력자들의 각축전이다. 표면을 벗겨보면 복잡해진다. 가장 황당한 사실은 모든 권력자들이 가지려 했던 지도가 사실은 아무 의미가 없는 가짜라는 것이다. 실체나 가치가 없는 지도를 확실한 증거도 없이 실력자들이 희생을 무릅쓰고라도 입수하려 한다는 설정 자체가 허무하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그러면 중국 영화가 아니지.

엄청나게 중요하다고 여겼던 구리 지도. 사실은 아무 의미없는 가짜 지도일 뿐이다.


반전에 반전에 반전에 또 반전

 

그 지도를 만든 장본인은 지역의 패주인 맹획의 아내 화부인이다. 화부인은 옛 연인이자 지금은 장군이 된 자오 장군을 위해 지도를 만들었다. 자오 장군은 충신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모든 음모의 배후이자 주인공 치준위안이 소속된 유령 계곡의 곡주 황금마스크였다. 자오 장군과 화부인이 낳은 딸은 이들의 음모를 모두 알면서도 마지막까지 방관한다. 영화를 보면서도 절대 안심할 수 없다. 어디서, 어떻게 반전이 이루어질지 모르기 때문이다. 참 ‘대다나다’.

유령곡주인 황금마스크이자 장군인 자오. 화부인과의 사랑을 이루기 위해서 음모를 꾸몄다는데 도통 이해가 되지 않는다.


무협 SF의 새 지평을 연 작품

 

이 영화의 장점을 꼽자면 남녀 주인공이 잘 생겼다는 것과 무협 장르에 SF적 요소를 접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남자 주인공은 윤도현을 닮았고 여자 주인공은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우리나라 여자 탤런트를 닮았다. 주인공은 오른팔의 팔목 아래가 없다. 의수를 붙인 상태다. 이 의수가 현대 기술로도 모방하기 어려운 첨단 기능을 가지고 있다. 표창을 내장하고 와이어를 연결해서 벽을 타고 오를 수 있다. 주인공뿐만 아니라 유령계곡의 백의사신이 가진 우산 역시 첨단 기능을 숨기고 있으며, 황금마스크는 황금날개를 소장하고 있다. 아. 그 놀라운 기능과 장르의 접목 시도라니.

지가 무슨 마블 영웅도 아닌데 날개를 달았다.


자뻑 심한 주인공, 공감하기 어려워

 

결말은 허무하다. 무공 수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치준위안이 곡주인 황금마스크를 가볍게 이겨 버린다. 이유? 아무도 모른다. 끝날 때가 되었으니 끝낼 뿐. 모든 사건의 시시비비가 가려진 것 같지만 감독이 숨겨둔 비장의 수는 아직 남아있다. 치준위안과 썸을 타는 여주인공 성성의 정체다. 성성의 정체를 밝히는 치준위안의 자세는 사뭇 비장하다. 유령계곡의 미래를 언급하며 자신의 규율(Code)를 언급한다. 그런데 공감은 전혀 가지 않는다. 그만의 자뻑일 뿐이다.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성성. 그녀의 정체는 무엇일까.

 

※ 이 영화의 영문 제목은 Song of the assassins이 아니라 Code of the assassins이다. 영화의 내용을 봐도 song이 아니라 code가 맞다는 걸 알 수 있는데 모든 포탈에도 엉뚱하게 적혀 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