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 경영

한국에서 전과자가 되면 곤란한 이유

by 마인드 오프너 2025. 2. 9.
반응형

전과자가 되기란 생각보다 쉬울 수도 있다. 하지만 전과를 갖게 되면 일상적인 삶을 살아가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전과자를 흔히 빨간 줄 그어진 사람이라고 표현합니다. 이 표현이 상징적이면서도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 이유는 전과 기록이 남으면 일상 생활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당연하게 누릴 수 있는 생활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착각하는 사실 중 하나가 전과 기준을 헷갈리는 겁니다. 전과자가 되는 기준은 금액이 아니라 선고에 따른 죄입니다. 과태료나 범칙금은 10억을 내도 전과와 상관없지만 벌금형은 10만 원이라도 납부를 거부하면 전과자가 될 수 있습니다.

 

불법주차, 무단횡단, 노상방뇨, 쓰레기 무단투기 등 위법행위는 범칙금이나 과태료만 내면 끝나는 반면 인터넷의 명예훼손이나 허위사실 유포 등은 벌금형이나 집행유예를 선고받게 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일상에서는 전과자가 되기 가장 쉬운 게 바로 음주운전이라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전과자가 되면 가장 곤란한 부분이 취업입니다. 임용 전 신원조회를 하는 공무원이 되는 건 불가능합니다. 일반 기업도 지원 자격에 해외여행 결격사유가 없는 자만 지원 가능이라고 명시함으로써 전과자를 거르고 있습니다. 설령 들어간다 해도 나중에 발각되면 퇴사 처리되며 소송도 당할 수 있습니다.

 

해외 여행도 할 수 없습니다. 전과 기록이 있으면, 외국에서 비자 발급 거부, 입국 거부, 체류 기간 제한, 범죄자 추적 시스템에 등록되어 감시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민이나 해외 취업 시에도 예외적으로 범죄기록과 수사기록을 요구하기도 하고 기록에 따라 입국을 금지하기도 합니다.

 

결혼도 쉽지 않습니다. 결혼할 때 배우자에게 전과자라는 사실을 알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숨기고 결혼해도 나중에 배우자가 알게 되면 이혼 사유가 됩니다.

 

통계 기록을 보면 2022년 기준 1년에 벌금형 이상 형사처벌을 받은 사람들이 75만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벌금형 등 상대적으로 가벼운 위법행위까지 포함한 결과이지만 평소 사소한 위법행위라도 조심해야 인생이 편해집니다.

 

 

반응형

댓글